1장을 통해 비전공자도 데이터를 다루면 좋다는 이유가 설득되셨나요? 그럼 이제부터 어떻게 하면 데이터를 다룰 수 있는가에 대해 알아봅시다.
데이터 관련 요청을 한 번이라도 해보신 분들이라면 DA 혹은 엔지니어들이 (학생이더라도 앞으로 현업에서 이런 말을 많이 듣게 되실 겁니다.) 이런 말을 하는 걸 들어보셨을 거예요.
아 쿼리 돌리고 있는데 어느 정도 걸릴 것 같아요.
요청 주신 거 쿼리 짜야 하는데 정확한 요구사항을 알려주세요.
나는 엑셀이나 스프레드시트 같은 형태의 데이터를 요청했는데 쿼..쿼리? 쿼리가 뭐지? 그럼 내가 들어봤던 SQL은 또 뭐지?? 라는 궁금증이 생기실 수 있습니다. 이걸 다시 되물어보자니 그것도 모르느냐는 취급을 받을 것 같아 걱정되고 그렇다고 누구 하나 시원하게 알려주는 사람이 없으니 대부분 알기를 포기하거나 그냥 그런가 보다 해버리죠.
자 그럼 우선 쿼리가 무엇인지 함께 알아봐요.
사전적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Query : 질의/질문
인.. 데 잘 와 닿지 않으시죠?
질문이라는 뜻에 포인트를 줘서 쉽게 예를 들어보면 쿼리란, “데이터베이스야!!(이하 DB) 나 질문 있어!! 나 이런이런 데이터가 필요한데 이렇게 줄 수 있어?”라고 DB에게 질문하는 행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DB로부터 데이터를 요청하는 행위 자체”를 의미하는 겁니다.
그렇다면 그렇게도 여기저기서 배워야 한다는 SQL은 대체 무엇일까요?
SQL은 Structured Query Language의 약자
위에 적힌 “랭귀지”라는 말을 보시면 감이 오시겠지만 예시를 든 것처럼 DB에게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해 질문을 할 때(쿼리라는 행위를 할 때) DB가 알아듣도록 번역해서 질문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언어가 바로 SQL이라는 것입니다. (안타깝게도 한국말로 DB에게 물어보면 알려주지 않습니다🥲)
제가 이것을 강조하는 이유는 SQL은 말 그대로 하나의 언어이기 때문에 DB에서 내가 얻고자 하는 데이터를 얻기 위해선 한국말로 이루어진 요청사항을 SQL로 번역하는 연습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이에요.
다음에는 우리가 흔히 DA들에 부탁하는 요청사항을 SQL로 번역하는 연습을 같이 해볼 예정이니 다음 콘텐츠도 많이 기대해 주세요.
함께 성장해요.
DB에는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형태별로 접근할 수 있는 언어가 다른 경우가 존재하는데 여러분이 접하게 되는 DB 대부분은 SQL로 소통하게 되어있으니 “DB에게 쿼리(질문)하기 위해선 SQL이라는 언어로 해야 한다.” 정도로 이해하셔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데이터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 기본] 정말 쉬운 예시 (1) | 2023.12.22 |
---|---|
[SQL 기본] SELECT, FROM, WHERE (0) | 2023.12.20 |
[SQL 기본] 요청사항을 쿼리로 번역하기 (1) | 2023.12.18 |
비전공자도 데이터 다루는걸 배워야하는 이유(2) (3) | 2023.12.07 |
비전공자도 데이터 다루는걸 배워야하는 이유(1) (1) | 2023.12.06 |